광복 75주년, 나아갈 25년이 중요하다

([ 해외문화홍보원 ], CC BY-SA)

광복절 75주년을 맞이하는 2020년 8월 15일 아침은 그동안 보기 힘들던 비 속에 시작되었다. 기상이변으로 인해 8월 중순쯤이면 늘 보던 환한 날씨는 사라졌고, 서울에서는 광복절을 맞아 서울시와 중앙방역대책본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극우세력의 시위가 계속되었다. 급기야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 서울시와 경기도에 2주간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선언하고, 2주동안 서울과 경기지역을 벗어나지 말 것을 경고했다 ] .

광복절에 대한 의미 해석도 여전히 달랐다. 김원웅 광복회장은 [ 이날 기념사에서 민족반역자 청산을 재강조하면서 “민족공동체의 숨을 옥죄어 온 친일반민족세력이 가져 온 거대한 절망을 무너트리느냐의 운명적 대전환 순간에 서 있다”고 말했다 ]. 그러나 이날 제주 기념식에서 이를 광복회 제주지부장이 대독하자, 광복을 축하해야 할 원희룡 지사는 [ “식민지의 백성으로 살았던 것이 죄는 아니다”며 행사를 망가트리는 발언을 했다 ]. 미통당도 여전히 [ “과거에만 매몰돼 사소한 것까지 다 찾아내면 과부하가 걸려 앞으로 나가지 못한다” ]면서 이를 비판했다. 이들이 꾀하는 미래지향성과는 거리가 먼 발언들이다.

독립을 기뻐하고 축하해야 할 이번 75주년 광복절이 분열의 날이 된 것은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한국은 그동안 신천지에 의해 퍼졌던 COVID-19를 이기고 월등한 경제보호와 확진자 보호를 이뤄내면서 타 국가보다 월등한 선전을 보였고, 급기야 OECD 국가 중 9위의 경제 규모를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개도국 자격을 포기하고 선진국으로 들어선 몇 달 만에 우리는 G7 참여 초청을 받았고 G7 확대에 반대하는 것처럼 보이는 독일로부터 찬성을 받는 등 진정한 국격 상승의 효과를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언제라도 깨질 수 있다는 두려움을 오늘 우리는 떠올린다. 3대 선거 대승에도 불구하고 보수세력의 지속적인 공격이 지지율 폭락, 자유당의 재건이라는 결과를 불러일으켰고, 민주주의를 파괴하려는 시도가 곳곳에서 계속되고 있다. 국가 발전을 위한 노력이 국가 파괴 노력으로 이름붙여지고 있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 수 없는 어둠 속으로 다시 빠지려고 하고 있다. 다시 ’75주년 건국절’을 기념하지 않을 수 있기를 바라지만, 그런 일이 몇년 안에 다시 일어날 수도 있다.

대한민국 사반세기를 맞아, 우리는 민주주의를 지키고 진정한 자유민주주의를 확립할 방안을 찾아나가야 한다. 사람 한 두명에 무너지는 민주주의는 민주주의라고 할 수 없다.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진정한 민주주의의 형성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고 행동해야 할 때이다. 다시 위기 앞에 서 있지만 이미 이뤄주신 구원과 기적은 끝나지 않았음을 기억하고, 기도와 행동에 나설 때이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