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광역시 남구, 미추홀구로 강제변경
인천광역시 남구가 1일부로 미추홀구가 되었다. 지난 2017년 3월 국회에서 법률이 통과된 바에 따른 것이다. 미추홀구 변경은 전 박우섭 청장이 밀어붙인 것이다. 2016년 5월, 구명 변경에 대해 10,000가구를 대상으로 샘플링 조사를 실시했으나 과반수가 넘는 구민이 이를 반대해 부결된 바가 있다. 그러자 박 전 청장은 몰래 2016년 11월 추가조사를 실시, 가짜 결과를 만들어 2단계 조사를 걸쳐 ‘미추홀구’와 ‘주안구’라는 2단계 조사를 전 가구에 실시, 낮은 응답률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으로 통과시키고 주민들에게 설득 과정 하나 없이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으니까 너는 대답만 하면 돼)식 변경절차를 진행했다. 미추홀구는 인천의 옛 명칭에 불과하며, 현재 인천의 옛 이름을 ‘미추홀대로’ ‘경원대로’ 등으로 인천시가 낮추어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이번 결정은 남구의 정체성을 파괴한 것이라 할 것이다. 이것은 주민자치를 부르짖어오고 실천한 박 전 청장의 행보와 정반대되는 이중적 폭거이며, 본 저자는 이를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
앞으로도 이 블로그를 포함해 모든 개인의 입장으로, 개인의 책임으로 표기 가능한 문서에서는 무기한 이 구의 이름을 ‘인천 남구’로 유지해 표기하고, 최악의 경우 인천 남(미추홀)구로 표기한다. 남구 주민 여러분들도 일상생활에서 공문서 등에 수기로·전자 형태로 표기할 때 남구로만 표기할 것을 제안·요청한다.
‘쁘라삐룬’ 태풍에 광역지자체·기초지자체장 일제히 취임식 취소
1일은 모든 지방통합선거 당선자들의 임기가 시작돼 국민들의 투표로 선출된 시장·지사·구청장·군수·○○의원 들이 당선자 신분을 뗀 순간이다. 그러나 일요일인 상태에서 2일 취임식이 예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갑작스럽게 2일 오후부터 2018년 제 7호 태풍 쁘라삐룬이 닥치게 되면서 모든 광역지자체장들이 예정된 취임식을 취소하고 비상상황에 들어섰다. 지금까지 보도된 바에 따르면 30일 이재명 경기지사와 오거돈 부산시장이 곧바로 취임식을 중단하고 1일부터 비상대비상황에 들어갈 것을 지시했으며, 이어 원희룡 제주지사가 곧바로 행렬에 나섰다. 이후 다른 광역지자체장들과 기초지자체장들도 곧바로 상황을 보며 취임식을 취소하고 현장 대처에 들어서고 있다. 시민들과 소통하는 자리가 줄어드는 상황이 꺼림찍해 보일수 있겠으나, 오히려 각 지자체장들의 행정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일 새벽 현재 태풍은 오키나와섬 서부를 지나고 있다.
탁현민 행정관, 결국 사표 반려당했다
1일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의 사표를 임종석 비서실장이 공개적으로 반려했다. 이는 지난 29일 탁 행정관이 페이스북에 ‘잊혀질 영광’을 말하면서 사퇴를 암시하고 페이스북 계정을 폐쇄한데 이어, 30일 탁 행정관이 언론들에게 문자를 보내 사표 제출을 공론화 한 데에 따른 청와대의 공식 반응이다. 임 비서실장은 ‘9월 남북정상회담을 마치고 첫눈이 오면 놓아주겠다’며 좀만 더 일해달라고 탁 행정관에게 말했다고 한다. 또한 청와대는 이 사건을 계기로 행사기획비서관 신설을 고려하겠다고도 밝혔다. 기자로서는 이 사건을 보면서 퇴계 이황이 지속적으로 사표를 내고 선조가 지속적으로 이를 반려한 고사가 생각나는데, 그럼에도 열심히 탁 행정관을 까는 특정 언론이 이해가 안갈 뿐이다.
삼성전자서비스 노동탄압 사건, 결국 노동부로 번져
삼성전자서비스(이하 ‘삼전서비스’) 노동조합 탄압 사건이 이젠 하다하다 노동부로까지 번졌다. 30일 이 사건을 조사하고 있는 고용노동행정개혁위원회는 2013년 고용노동부가 당시 삼전서비스 불법파견 현황을 수사감독한 결과, 조사관들은 명백한 불법 정황을 확인하고 보고서에도 그렇게 기입했으나, 본부에서 결과 내용을 수정해 같은 해 9월 16일 불법파견이 아닌 것으로 결과서 내용을 수정한 뒤, 삼성 이사와 연락해 향후 대처방향을 친절히 알려주고 삼성전자 보고서 내용을 지속적으로 피드백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삼전서비스 사건의 추이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2014년 5월 노조원 시체 빼돌리기 사건의 주요 증인 중 하나인 아버지가 위증한 사건에 대해서는 30일 또다시 법원에서 구속영장이 기각돼 사법부에 대한 국민·시민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