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한국 개신교의 무능, 언제까지 가나

9일 S고 학생들이 인천 부평문화의거리에서 피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저자 촬영)

낯선 풍경이었다. 고등학생들이 자기 학교의 문제를 해결해 달라며 거리로 나서는 것 자체도 드문 일이거니와, 학교 소재지와 거리가 있는 곳에, 무작정 학교 교복을 입고 나와서 시민들에게 자신들의 학교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요청하는 것은.

그런 풍경이 벌어진 이유는 이 학교의 교장과 교감이 학생들에게 강요한 각종 부조리였다. 그들은 학생들에게 공연을 자신의 돈으로 다닐 것을 요요구면서, 자신들의 비리에는 눈을 감았다. 여학생들을 의도적으로, 그들의 의사와 상관 없이 군부대나 남고로 보내서 선정적인 춤을 추며 요깃거리로 삼게 만들었다. 그리고 받은 출연료는 자신들의 몫으로 뗴었다. 이런저런 학교의 비리에 학생들이 저항하자 올해 개학부터는 반대하는 선생들을 자르고 아예 선생을 배정하지 않았다. 수업은 파행으로 치달았다. 여기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의 학교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인지 궁금하지만, 여기까지는 그나마 괜찮다고 하자.

그런데 내가 저들을 보면서 더더욱 부끄러운 것이 있다. 바로 해당 고등학교가 복음을 전하겠다면서 미션스쿨임을 자랑스럽게 홍보했던 학교이기 때문이다. 복음을 전하겠다며 매주 채플을 드린다. 교장이〈빈방 있습니까〉를 공연했다며 자랑스럽게 문화선교를 내세운다. 그런 겉이 좋으면 뭐하나! 복음의 본질이 없는 곳이라면 그 곳에는 예수 그리스도가 없다. 그곳은 하나님 나라가 아니다.

더 큰 S고의 문제는 갑작스럽게 튀어난 이야기가 아니라는 데 있다. 한국교회 전반에서 제목만 다르지 동일한 레퍼토리로 동일하게 나타나는 문제다. 이런 문제가 나타난지도 꽤 됐다. 한국사회에 아직도 큰 상처로 남아있는 형제복지원 사건을 저지른 박인근이라는 자도 복지원에 교회라는 것을 짓고 매일 예배를 드렸다. 이유없이 납치당한 채 고된 폭력과 노역에 시달리던 사람들의 희생을 박인근씨가 조장했고, 그들 사이에서 죽어나간 생명이 수도 없다. 그러나 그의 폭력은 전두환씨의 사회 정책에 의해 칭찬받았고, 폭력의 피해자들은 87년 6월 민주항쟁이 끝날 때쯤에야 그 지옥을 벗어날 수 있었다.

더 웃긴 것은 박인환씨가 그 이후에도 시설을 운영하면서 돈을 벌다가 편안하게 눈을 감았고, 지금도 복지원 경험자들은 최하층에서 파괴된삶을 살고 있다. 폭력과 피를 저지른 사람은 편히 가다 죽고, 그들을 대신해 국가가 사과했는데 그들과 한 부류였을 한국교회는 형제복지원에 대해 아무런 말이 없다. 시편 73편의 아삽의 절망적인 고백(:2-15)이 떠오르게 만드는 작자다.

이뿐만이겠는가? 4·3 민중항쟁에서 믿는 자의 이름으로 학살을 주도한 서북청년단, 한국교회 목회자들에 의한 각종 성추행, 재정비리, 범죄… 하나님께서 당장 심판하셔도 뭐라고 할 것 없는 죄들을 우리는 그냥 모르는 체 하면서 넘겨왔다. 아니 후환이 두려워서라도 넘겨야만 했다. 그러면서도 교회안에서는 아직까지도 반공산주의, 자유민주주의를 가장한 가짜민주주의를 외치면서, 전도만 하면 미련한 말을 사용해 하나님께서 구원해 주실 것이라고 말한다. 이런 대처능력(?)은 어떤 의미에서는 신천지나 구원파보다도 못할지도 모르겠다. 이건 한국교회 전반의 무능에 가깝다.

이미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타종교의식이 철저하지 않은 이상 교회를 한 번 씩은 거쳤다. 또한 주변 기독교인들의 모습을 보면서 기독교인에 대한 자신들의 판단과 생각을 굳혔다. 한국교회가 앞으로 저들 가운데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그리고 엔드타임 속에서 승리하는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바뀌어야 할텐데, 어떻게 바뀌어야 할지 모르겠고, 바뀌고 싶지 않아하는 교회 공동체들 속에서 무엇인가를 외치려는 시도도 이제는 빛도, 영향력도 잃어가고 있다.

그 결과, 이대로 한국 교회는 소수자로 전락하고 말까? 그래서 엔드타임에 주님 보시기에 부끄러운 교회가 될까? 그렇지 않기를 바란다. 우리와 많은 이들을 위해 죽으신 구원의 값을 헛되이 하지 않기 바란다. 하나님 나라가 확장되기를 바란다. 그렇다면, 우리의 기도 자리에서부터 한국교회의 잘못을 안고 주님께 나아가야 한다. 마침 사순절 시기라서 더욱 그렇다.

댓글 달기